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해커스쿨 FTZ
- Path Cost
- 치트엔진 풀이
- code engine
- 링크 대역폭
- 시스템해킹
- 세그먼트
- 코드엔진 풀이
- 서브넷팅
- 서브넷 마스크
- 브리지 ID
- TCP/IP
- Root Bridge
- 콜리젼 도메인
- 데지그네이티드 포트
- FTZ level3
- Non Root Bridge
- 코드엔진
-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 code enigne
- BPDU
- 서브넷
- 루트 브리지
- 루핑
- 네트워크 장비
- ip주소
- 네트워크
- 브리지 우선순위
- 코드엔진 basic 5
- 루트 포트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9)
IT 블로그 !!
루트 브리지, 루트 포트,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를 정할때 다음의 순서를 통해서 정한다. 1. 누가 더 작은 Port BID를 가지고 있는가 2. 루트 브리지가지의 Path Cost 값은 누가 더 작은가 3. 누구의 BID( Sender BID)가 더 작은가 4. 누구의 포트 ID가 더 작은가 브리지/스위치는 스패닝 트리 정보를 자기들끼리 주고받기 위해서 특수 프레임을 사용한다. BPDU라고 한다. BPDU는 루트 브리지의 BID인 Root BID 루트 브리지까지 가는 경로값인 Root Path Cost 보내는 브리지의 BID인 Sender BID 어떤 포트에서 보냈는지 알게 해주는 Port ID 정보가 담겨있다. 브리지/루트 브리지, 루트 포트,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를 정할때 다음의 순서를 통해서 정한다.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이 3가지 기본동작을 이해하면 매우 쉽다. 1.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Root Bridge)를 갖는다. 여기서 네트워크란 브리지/스위치로 구성된 하나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루트 브리지란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수행시 기준이 되는 브리지/스위치를 말한다. 2. 루트 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Non Root Bridge)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Root Port)를 갖는다. 루트 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를 Non Rott Bridge라고 부른다. 여기서 루트 포트는 루트 브리지에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포트. 브리지들은 루트 브리지 쪽으로 가장 가까운 루트 포트를 지정해야한다. 3. 세그먼트(Segment)당 하나씩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를 갖는다. 세그먼..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입니다. (같은말이라는거죵)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은 스위치나 브리지에서 일어나는 루핑을 막아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에는 브리지 ID(Bridge ID)와 Path Cost라는 게 사용된다. 브리지 ID는 말 그대로 브리지/스위치들이 통신할 때 서로 확인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번호이다. 8바이트(64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앞의 16비트는 브리지 우선순위(Bridge Priority)와 나머지 48비트에는 맥 어드레스가 온다. 브리지 우선순위에는 0부터 2의 16승 -1까지 가 올 수 있다. 만약 브리지/스위치에 아무 설정하지 않았다면 브리지 우선순위의 값은 32768일 것이다. 왜냐하면 브리지 우선순위의 디폴트 값 즉 기본 값이 32768이기 ..
서브넷 마스크를 통해 만들어진 서브넷은 하나의 네트워크 이기 때문에 서브넷 끼리의 통신은 라우터를 꼭 거쳐야만 한다. 서브넷 마스크는 이진수로 썼을 때 '1'이 연속적으로 나와야 한다.
IP 주소를 나누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에 붙어다닌다. 이것이 바로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이다. Class A의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 - 255.0.0.0 Class B의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 - 255.255.0.0 Class C의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주어진 네트워크를 나누지 않고 그대로 다 쓰는 경우에는 이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 또 서브넷마스크는 IP주소의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부분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서브넷마스크가 이진수로 '1'인 부분은 네트워크 부분. 서브넷 마스크가 이진수로 '0'인 부분은 호스트 부분이다. IP주소를 위에 두고 서브넷 마스크를 밑에 적은후 둘을 AND연산을 하게되면 아래에 나온 값이 서브넷이 된다. 이렇게 ..
현재 네트워크에서 사용중인 호스트의 개수는 4개이다. (예를 들면) 그런데 클래스 B IP주소를 배정받았다. 이렇게 되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너무커져서 통신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커다란 네트워크를 잘게 나누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서브넷팅이다. 서브넷팅을 할때 사용하는것이 바로 서브넷 마스크이다. 결론: 커다란 네트워크를 나누기 위해서 사용하는것이 서브넷 마스크이다.
IP주소는 Class에 따라서 구분이 가능하다. Class에 따라서 네트워크 부분, 호스트 부분이 다르다. Class는 A, B, C, D, E 클래스가 있다. Class A 맨 앞의 옥텟(Octet)이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낸다. 나머지 세 개의 옥텟(Octet)은 호스트 부분을 나타낸다. 네트워크가 1~126으로 시작하는 네트워크는 Class A이다. 호스트의 개수는 2의 24승 -2개이다. (계산하면 16,777,214개 ㄷㄷ) Class B 앞의 2개의 옥텟(Octet)이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낸다. 나머지 2개의 옥텟(Octet)이 호스트 부분을 나타낸다. 네트워크가 128.1 ~ 191.255로 시작하는 네트워크는 Class B이다. 호스트의 개수는 2의 16승 -2개이다. (65,344개) Cl..
IP주소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부분으로 나뉜다. 네트워크 부분에서의 네트워크는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영역이며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하다. 호스트란 기기, 즉 PC를 뜻한다. 어떤 네트워크에서든 네트워크부분은 항상 같아야하고 (라우터를 거치지 않는다는것은 같은 네트워크에 속해있다는 뜻) 호스트 부분은 항상 달라야한다. 호스트 부분도 같게 되면 IP주소의 충돌이 일어난다.
라우터에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시리얼 인터페이스가 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포트이다.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외부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되는 포트이다. 이더넷 인터페이스에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위해 받은 IP주소중 하나를 배정받는다.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마음대로 IP주소를 배정받을 수 없다. 라우터가 접속하는 상대(외부의)라우터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와 IP주소를 맞춰야하기 때문이다.